Q. 우퍼
우퍼를 층간소음 보복용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용도에 쓰이는 것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.
-
우퍼
- 스피커의 저음역을 담당하는 유닛
- 책에서는 서브우퍼가 설명되어있어서 차이점도 한번 찾아보았다.
🎧 우퍼(Woofer)
- 역할: 중저음부터 저음까지 재생
- 주파수 범위: 보통 40Hz ~ 500Hz
- 용도: 일반적인 스피커 시스템(2.1채널, 5.1채널 등)의 저음을 담당
- 특징:
- 음악에서 베이스 기타, 드럼 킥 같은 소리 표현
-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
💥 서브우퍼(Subwoofer)
- 역할: **초저음(서브베이스)**만 전문적으로 재생
- 주파수 범위: 보통 20Hz ~ 200Hz (심한 경우 150Hz 이하) → 파동 김
- 용도: 극장, 홈시어터, 클럽 등에서 웅장한 저음을 표현
- 특징:
- 사람 몸을 울리는 듯한 저음 (예: 영화 폭발음)
- 큼직하고 독립된 박스 형태가 많음
- 앰프 내장형(액티브)인 경우도 많음
서브우퍼 스피커가 층간소음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도 찾아보았다.
- 파장이 긴 저음일수록 큰 진동을 유발하여 바닥이나 벽을 뚫고 멀리 퍼질 수 있다.
- 기둥식 구조인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은 벽식구조로 되어 있어 모든 소음이 벽으로 울려서 큰 효과를 낼 수 있다.
Q. JPEG파일과 PNG 파일의 차이점

- 용량을 줄이면서 괜찮은 화질 → jpeg / 투명 배경이 필요하거나 화질 그대로 유지 → PNG
Q. ASR-33

- 전신 타자기이다.
- 키보드 + 프린터 + 종이테이프 장치다
- 진행 원리
- 사용자가 키보드로 명령 입력
- 입력 내용이 컴퓨터로 전송됨
- 컴퓨터가 결과를 계산함
- 결과가 프린터로 인쇄됨
-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종이 테이프에 저장할 수도 있음
→ 모니터가 아예 없어 모든 결과는 종이에 인쇄!